자료 문의 | ||
작성자 : 김OO | 작성일 : 2013-01-24 22:29:58 | 조회수 : 2257 |
무예 24기 설명에 1604년에는 권보를 1610년에는 최기남이 언월도,왜검 등을 풀이한 무예제보 번역속집을 편찬하여 군영에 보급하였다는 내용이 있는데 어떠한 자료에 근거한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저도 무예도보통지를 공부하고 있는데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
답변 |
문의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은 2013-01-30 11:25:28에 등록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수원문화재단입니다.
먼저 무예24기에 보내주신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拳譜]에 대한 설명은 <朝鮮王朝實錄>
宣祖 182卷, 37年(1604 甲辰 / 명 만력(萬曆) 32年) 12月 16日(辛酉) 3번째기사 訓鍊都監啓曰 “前日內下《紀效新書》八冊、《鍊兵實紀》九冊、《倭情備覽》一冊, 合十八冊, 《倭情備覽》傳書後還入事, 傳敎矣。 凡此十八冊, 俱不可留外, 故, 皆已傳書改裝, 上進矣。 《操鍊圖式》修正一冊、《拳譜》撰次一冊, 亦爲上進。 當初, 《操鍊圖式》及《武藝諸譜》撰定時, (未)〔尙〕有疎漏處。 今見內下《紀効新書》, 則用旗之節、作戰之法, 頗似完備, 又以拳圖, 追入於卷末, 故卽令韓嶠, 凡《操鍊圖式》中未備處, 皆依此修正, 用旗節次, 守城操鍊, 其他條目, 竝添入于其中, 而拳譜, 亦令據此撰定矣。상기 내용에 나와 있으며, 안타깝게도 [拳譜]는 현존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武藝諸譜飜譯續集]은 현재 대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보관 중이 국가지정 보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군영 보급에 대한 내용은 최기남이 쓴 발문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武藝諸譜飜譯續集]에 수록된 무예의 의미와 특성은 최형국, [朝鮮後期 騎兵의 馬上武藝 硏究], 2011,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에 자세히 나와 있으니 참조바랍니다.(국회도서관이나 중앙도서관에서 검색 가능합니다)
다시 한 번 깊은 관심 감사드리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괄동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다음글 | 자료요청 |
---|---|
이전글 | 앱 제작 기획 강좌를 제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