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홈
봄로야 작가 작품

봄로야

작품정보

〈노을에 취약한 눈〉, 2022, 4K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4분 30초

경력

개인전

2023 <움벨트, 둠벙, 꾸르륵 프로젝트>, 전시공간 플레이스막2, 을지로OF, 서울
2019 <다독(多讀)풍경>, 스페이스 XX, 서울
2016 <답 없는 공간: 근사한 악몽>, 탈영역 우정국, 서울
2014 <사라의 짐>, 스페이스 알떼에고, 서울
2012 <0페이지: 움직이는 책>,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09 <눈물이 내리는 노래>, 프린지 클럽(홍콩), 프린지 페스티벌(마카오)

단체전

2024 <Way-Finding>, 을지로OF, 서울
2023 <이동성 없는 거주, 거주 없는 이동성: 옵드라데크>, 서울메트로 미술관, 인사동 코트, 서울
2023 <모두의 연구실(세마 코랄)>, 서울시립미술관 온라인 전시
2023 <광명도시대작전>, 예술공간 광명시작, 광명
2022 <일시적 개입>, 아르코미술관, 서울 (노뉴워크 콜렉티브로 참여)
2022 <정해져있지 않은 거주지: 오드라데크>, 아마도예술공간, 서울

레지던시

2024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
2020-2021 수원아트스튜디오 푸른지대창작샘터, 수원

선정 및 수상

2017 올해의 양성평등문화상 신진여성문화인상 수상, (사)여성·문화네트워크

작가노트

떠나보내거나 상실해야 하는 상념을 붙잡아 드로잉, 텍스트, 흥얼거림 등의 멜랑콜리아적 해프닝으로 기록한다. 도시 산책과 완성, 미완성, 불안, 두려움 등의 감정을 연결 지은 <답 없는 공간: 근사한 악몽>(2016-2018)과 <다독풍경>(2019) 프로젝트를 기점으로, 사적 경험이 미술가, 작가, 음악가 등과의 대화 및 협업으로 통과되어 다른 사건이 되는 이야기를 만든다. 도시에서 일어나는 의도와 우연이 뒤섞인 미시적 시간성에 관심을 갖고, 이를 시적 언어로 직조하는 데 관심이 있다.

  • 화면최상단으로 이동
  • 다음 화면으로 이동
  • 페이지 맨위로 이동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