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택
〈스톤마켓_곡성〉, 2022, Pigment Print, 150X350cm
개인전
2022 <집과벽>, 예술공간 아름, 수원
2021 <빈방>, 나주나빌레라 문화센터, 나주
2019 <빈방>, BMW포토스페이스, 부산
2016 <빈방-photography>, SPACE22, 서울
2009 <소년이여! 야망을 가져라>, 대안공간 풀, 서울
단체전
2023 <무수히 안녕>,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2023 <세상의 모든 것, mandala or monad>, 무안군오승우미술관,무안
2023 <대구사진비엔날레 – 다시, 사진으로>,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2023 <re;side>,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 광교, 수원
2022 생생화화生生化化 <사이의 언어 the language between>, 김홍도미술관, 안산
2022 제 22회 하정웅 청년작가 초대전 <빛 2022 수집된 풍경들>,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22 개관 30주년 <두 번째 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21 제 13회 광주비엔날레 <떠오르는 마음, 맞이하는 영혼>, 광주비엔날레, 광주
2020 <0인칭 시점>, 경기창작센터 기획전, 경기창작센터, 안산
레지던시
2023 수원아트스튜디오 푸른지대창작샘터 3기, 수원
2022 수원아트스튜디오 푸른지대창작샘터 2기, 수원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전남도립미술관, 고은사진미술관, 해미술관, 예술공간 집, 광주시립미술관
도시와 비도시의 경계와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건의 얼굴과 그 속에서 발생하는 기이한 한국적 풍경을 드러낸다. 작가 자신이 전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성장한 배경과도 관련이 있으며, 카메라를 든 사람으로서 동시대에 사진 매체를 어떻게 활용하고 확장해 나갈 수 있을지를 고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