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 달 복떡방(10월)

분류 | 공연 |
---|---|
기간 | 2018-10-06(토) ~ 2018-10-06(토) |
시간 | 10:00~12:00 |
장소 | 수원전통문화관 |
이용료 | 1인 20,000원 |
주최/주관 | 수원문화재단 |
문의처 | 031-247-5613 |
01. 모집분야
- 주요프로그램
주요프로그램 프로그램명 일자 운영일자 교육내용 열두 달
복(福)떡방2018. 10. 06.(토) 이론 - 떡의 맛과 색을 내는 재료 이야기
- 떡살에 담긴 전통문양 이야기
- 떡타령과 열두 달 떡 이야기
실습 - 떡메치기, 떡살찍기
- 애단자(쑥구리단자), 무오병(무시루떡) 만들기
- 접수기간 : 2018. 09. 21.(금) ~ 2018. 10. 04.(목)
- 운영일시 : 2018. 10. 06.(토) 10:00 ~ 12:00
- 운영시간 : 120분
- 운영장소 : 수원전통문화관 전통식생활체험관(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93)
- 모집인원 : 총 15명
- 모집대상 : 초등학생
- 수강료 : 금20,000원(※ 재료비 포함)
02. 세부 프로그램
- 강사명 : 박은혜(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궁중음식 기능 이수자)
- 교육내용
교육내용 구분 소요시간 교육내용 이론 10:00
~10:40
(40분)- 맛을 내는 재료
- 가루 : 차조, 찹쌀, 멥쌀, 흑미, 옥수수, 메밀, 현미, 찰수수, 보리, 도토리
- 고물 : 붉은팥, 거피팥, 검정깨, 흰깨, 잣, 밤, 콩(노란콩, 푸른콩, 검정콩) 등 - 색을 내는 재료
- 적(赤) : 백년초가루, 경앗가루, 팥가루, 자색고구마가루, 오미자, 지치
- 녹(綠) : 감태, 승검초, 쑥가루, 녹차가루
- 황(黃) : 치자, 단호박, 홍화, 송홧가루, 울금
- 갈(褐) : 송기, 대추고, 도토리가루, 감가루
- 흑(黑) : 석이가루, 검정깨가루, 흑미가루 - 떡에 담긴 전통문양
- 떡살의 문양별 상징 : 태극문, 격자문, 수복문, 국화문, 어문 등
- 떡메치기, 떡살찍기 - 떡타령과 열두 달 떡 이야기
- 월령가 떡타령(서울) : 정월 대보름 달떡이요, 이월 한식 송병(松餠)이요, 삼월 삼진 쑥떡이로다…
- 지역가 떡타령(전라남도 화순) : 산중 사람은 칡가리떡, 해변 사람은 파래떡, 제주 사람은 감자떡…
실습 10:40
~12:00
(80분)- 5월 : 차륜병(수리취떡), 꽃산병(꽃절편)
- 6월 : 도행병(복숭아떡), 수단병(오미자 수단)
- 7월 : 기증병(방울증편), 과편(과일묵)
- 8월 : 석탄병(감떡), 송엽병(오려송편)
- 9월 : 신과병(햇과실떡), 율단자(밤단자)
- 10월 : 애단자(쑥구리단자), 무오병(무시루떡)
- 11월 : 새알병(새알팥죽), 유자단자
※ 회차별 실습항목은 재료 수급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 맛을 내는 재료
03. 접수방법
- 접수처
- 온라인 접수 : 수원문화재단 홈페이지(www.swcf.or.kr) 수강신청
- 유선 및 방문 접수 : 수원전통문화관 전통교육팀(☎ 031-247-5613)
- 접수절차
- 사전접수 : 접수개시(개강일로부터 3주 전) → 접수확인(문자 발송 / 접수일로부터 3일 이내)→ 개강안내(문자 발송 / 개강일로부터 1주 전) → 수강료결제(계좌이체) → 접수확정(문자 발송 / 결제일로부터 3일 이내)
04. 취소 및 환불
- 전액 환불
- 수원전통문화관의 사정으로 수강을 할 수 없는 경우
- 수강자가 본인의 의사로 수강을 포기한 경우
- 천재지변 등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 반환 사유 발생에 따른 취소 요청일이 수강 개시 이전일인 경우
- 부분 환불
- 반환 사유 발생에 따른 취소 요청일이 수강 개시 이후일인 경우, 기납부한 수강료 중 수강일을 제외한 잔여 일수의 수강료를 일할 계산
※ 프로그램 당일 수강료 및 재료비 환불 불가
※ 환불 불가에 따른 미사용 식재료의 외부 반출 요청 엄금
※ 수강 확정 후, 동일 날짜에 수원시 공식 행사 발생 시 해당 행사에 우선권 부여
- 반환 사유 발생에 따른 취소 요청일이 수강 개시 이후일인 경우, 기납부한 수강료 중 수강일을 제외한 잔여 일수의 수강료를 일할 계산
05. 기타 유의사항
- 원활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하여 당일 결제가 불가하오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실습 과정은 회차별 4개조로 운영로며, 해당 항목은 프로그램 종료 후 수원전통문화관에서 제공해드리는 소분 용기에 담아 가져가시게 됩니다.
- 이론 과정의 경우, 일부 야외에서 진행됨을 알려드립니다(우천 시 실내 진행).
- 프로그램 운영 및 홍보를 위하여 수업 내용에 대한 사진 촬영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주차 공간이 없으므로 대중교통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06. 문의
- 문의처 : 수원문화재단 전통사업부 전통교육팀(☎ 031-247-5613)
위치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93(장안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