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홈
현재 위치

행사정보

2023 화성행궁 야간개장 연계 특별展 <추풍미담:秋風美談>
2023 화성행궁 야간개장 달빛화담 특별전 추풍미담 2023년 10월 14일부터 10월 29일까지 화성행궁 유여택 경기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25
행사정보 상세보기
분류 전시
기간 2023-10-14(토) ~ 2023-10-29(일)
시간 09:00~21:30(월/화요일은 18:00까지 운영)
장소 화성행궁 유여택
주소/소재지 경기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25
이용료 성인 1,500원 / 청소년 및 군인 1,000원 / 어린이 700원
주최/주관 수원시 / 수원문화재단
문의처 031-290-3612
접수방법 당일 현장 매표
‘2023 화성행궁 야간개장 연계 특별展 <추풍미담:秋風美談>’
 
가을바람(추풍:秋風)과 달빛 아래, 역사적 공간 ‘화성행궁’을 아름다운 예술적 언어(미담:美談) 현대미술로 재해석한 지역작가 특별전이 진행됩니다.
 
 
  • 전시일정 : 10. 14.(토) ~ 10. 29.(일) 09:00~21:30 (월/화요일 18:00까지 운영)
  • 전시장소 : 화성행궁 유여택 일원
  • 전시기획 : 경수미
  • 지역작가 : 고창선, 김아라, 송태화, 이선미, 전경선, 정철규, 최범용

     

    1) 고창선 작가
    휴연안내
    작가명 고창선 Koh Changsun
    작품명 달 그리고 빛 2023 /The Moon
    비디오아트, 빔 프로젝터 / 가변설치 (비디오) / 2023
    작가노트 달은 인류의 모든 진화와 사건를 응시하고 있으며 인간 또한 달을 보면서 진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변화 없이 서 있는 달을 보면서 역사의 수많은 사건의 증인이며 관찰자의 모습으로 지금도 우리 곁에 있다. 우리에게 달은 무엇인가?

     

    2) 김아라 작가

    휴연안내
    작가명 김아라 Ah Ra Kim
    작품명 Untitled
    나무 캔버스 틀에 아크릴릭, 캔버스에 아크릴릭, 안료/가변설치/2023
    작가노트 한국의 고건축 구조와 문양을 취사선택하여 추상적으로 풀어낸다. 이번에 선보이는 작업은 기존의 컴퓨터 작업으로 완성된 이미지를 계획하고 진행했던 것과 다르게, 직관적으로 문양을 수집하듯 캔버스 화면을 채워 나간다. 화면 속 서로 얽혀있는 조각들 속에서 우리는 왜 이곳에 들어와 있는가 하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3) 송태화 작가

    휴연안내
    작가명 송 태 화 Song Taehwa
    작품명 여행 /A journey
    거울에 스크래치 채각, 영상 / 98x34cm,98x36cm,107x36.5x3cm / 2023
    작가노트 행궁에는 뒤주가 왜 있어야만 한가? 라는 질문에서 작업의 모티브로 정조의 효심과 사도세자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자 한다. 화성행궁의 뒤주에서 바라본 영상을 통하여 삶과 죽음을 밖에서 바라본 관람자의 모습과 뒤주안의 여행하는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게 하여 뒤주안의 여행과 관람자의 동시각적 체험을 통해 삶의 여행으로 초대하고자 한다.

     

    4) 이선미 작가

    휴연안내
    작가명 이선미 Lee Sunme
    작품명 달항아리 / Moon Jar
    안경알, 동/ 92x92x98cm / 2023
    작가노트 나는 사람들이 사용했던 안경알로 작업을 한다.
    사람마다 다른 개성을 가지고 있듯, 다 다른 굴절을 가지고 있는 안경알이 모여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성을 생각하고, 그런 우리가 모여서 만들고 살아가고 있는 세상을 생각하게 된다. 이 과정 속에서 나는 사람과 사람의 인생을 엮어, 우리가 알게 모르게 그려왔던 마음속의 시선과 바람을 그려본다

     

    5) 전경선 작가

    휴연안내
    작가명 전경선 Jeon Gyeongseon
    작품명 작품1 <투명한 몸> /A Transparent Body
    350x180x90cm / 나무에 혼합재료 / 가변설치 / 2023

    작품2 <투명한 심장> /A Transparent Heart
    310x109x80cm / 나무에 혼합재료 / 가변설치 / 2023

    작품3 <투명한 기억> /A Transparent Memory
    200x60x40cm / 나무에 혼합재료 / 가변설치 / 2023

    작품4 <10월 어느 거리에서>/ On a Street in October
    80x50x15cm / 나무에 혼합재료 / 가변설치 / 2023
    작가노트 나의 ‘투명한 것에 대하여 시리즈’ 작품은 현대사회에서 이중성의 속성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한 투명한 ‘진실 된 내면‘ 을 표현한다.
    나의 작품이 화성행궁 유어택에 빛과 함께 설치됨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우리의 투명한 내면’과 화성행궁이 창건된 그날, 조선시대 왕이었던 ‘정조의 투명한 내면’을 작품을 통해 동시성으로 느껴 보고자 한다.

     

    6) 정철규 작가

    휴연안내
    작가명 정 철 규 Jung, Choul gue
    작품명 브라더 양복점 – 달빛 아래 보이지 않는 소리/Brother’s Tailor Shop- Invisible Sounds under the Moonlight
    양복 원단 위에 손바느질 실 드로잉 / 가변 크기 / 2023
    작가노트 수원화성행궁 내 유여택에서 소개되는 <브라더 양복점 – 달빛 아래 보이지 않는 소리> 는 브라더 양복점 프로젝트에서 진행되었던 작품을 역사적 공간에 재구성하여 선보이고자 한다. 이는 사회와 연결된 인간의 보이지 않는 감정선을 미약한 빛의 움직임(손바느질 실드로잉)으로 표현하여 작은 빛이 누군가의 가슴에 닿았을 때 저마다의 그림자가 맺힐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7) 최범용 작가

    휴연안내
    작가명 최 범 용 Choi beom yong
    작품명 꿈 (정조의 꿈) /The Dream of King Jeongjo
    아크릴판 위에 아크릴물감, 조명/3.50m×3.50m/2023
    작가노트 유여택 마당에 설치된 원형의 형태의 작품은 원형의 틀이 세상을 인식하는 틀이라고 생각하여 색을 입혀서 정조가 꿈꾸던 세상을 그려 보고자 한다. 다양한 색상이 중첩되어 원 내부와 외부에 화려하고 조화로운 패턴이 생성되면서 정조가 꿈꾸던 세계에서 인간과 자연, 사회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과 순환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2023 화성행궁 야간개장 달빛화담 특별전 추풍미담 2023년 10월 14일부터 10월 29일까지 화성행궁 유여택 경기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25  고창선 김아라 송태화 이선미 전경선 정철규 최범용

  • 화면최상단으로 이동
  • 다음 화면으로 이동
  • 페이지 맨위로 이동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