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수원SK아트리움
수원문화지도
수원시미디어센터
문화도시수원
111CM
정조테마공연장
수원화성관광
관람안내
화성행궁 야간개장
수원화성 소개
화성행궁 소개
화령전 소개
수원화성 공연 · 체험
수원호스텔
문화관광해설
행궁동 왕의 골목여행
근대여행 골목길 해설
수원화성 태평성대
축제·행사·교육
미디어아트
수원화성문화제
정조대왕능행차
수원 국가유산 야행
수원연극축제
행사정보
교육정보
문화사업
문화사업 안내
지원사업 안내
문화도시 수원
수원문화지도
문화시설
수원SK아트리움
수원제1야외음악당
수원제2야외음악당
수원전통문화관
무형유산전수회관
111CM
수원시미디어센터
푸른지대창작샘터
지동예술샘터
실험목장 AGIT
슬기샘도서관
지혜샘도서관
바른샘도서관
정조테마공연장
시설물 대관 안내
열린공간
재단소식
프레스룸
자료실
통합 온라인접수
열린의견
공공데이터개방
경영공시
인인화락웹진
재단소개
인사말
비전 및 경영전략
ESG경영
청렴·윤리경영
인권경영
연혁 및 설립배경
조직 및 담당업무
CI소개
재단 오시는 길
문화기부ssac
싹ssac 후원하기
싹ssac 새소식
싹ssac 후원회원
싹ssac 소개
기타
문화관광해설사
LANGUAGE
English
中國語
日本語
SNS
facebook
naver blog
blog
swcf_offical
youtube
suwon hwaseong Fortress
검색
검색어 입력
수원문화재단
수원화성관광
관람안내
화성행궁 야간개장
수원화성 소개
화성행궁 소개
화령전 소개
수원화성 공연 · 체험
수원호스텔
문화관광해설
행궁동 왕의 골목여행
근대여행 골목길 해설
수원화성 태평성대
축제·행사·교육
미디어아트
수원화성문화제
정조대왕능행차
수원 국가유산 야행
수원연극축제
행사정보
교육정보
문화사업
문화사업 안내
지원사업 안내
문화도시 수원
수원문화지도
문화시설
수원SK아트리움
수원제1야외음악당
수원제2야외음악당
수원전통문화관
무형유산전수회관
111CM
수원시미디어센터
푸른지대창작샘터
지동예술샘터
실험목장 AGIT
슬기샘도서관
지혜샘도서관
바른샘도서관
정조테마공연장
시설물 대관 안내
열린공간
재단소식
프레스룸
자료실
통합 온라인접수
열린의견
공공데이터개방
경영공시
인인화락웹진
재단소개
인사말
비전 및 경영전략
ESG경영
청렴·윤리경영
인권경영
연혁 및 설립배경
조직 및 담당업무
CI소개
재단 오시는 길
문화기부ssac
싹ssac 후원하기
싹ssac 새소식
싹ssac 후원회원
싹ssac 소개
검색
검색어 입력
수원화성관광
관람안내
화성행궁 야간개장
수원화성 소개
화성행궁 소개
화령전 소개
수원화성 공연 · 체험
수원호스텔
문화관광해설
행궁동 왕의 골목여행
근대여행 골목길 해설
수원화성 태평성대
축제·행사·교육
미디어아트
수원화성문화제
정조대왕능행차
수원 국가유산 야행
수원연극축제
행사정보
교육정보
문화사업
문화사업 안내
지원사업 안내
문화도시 수원
수원문화지도
문화시설
수원SK아트리움
수원제1야외음악당
수원제2야외음악당
수원전통문화관
무형유산전수회관
111CM
수원시미디어센터
푸른지대창작샘터
지동예술샘터
실험목장 AGIT
슬기샘도서관
지혜샘도서관
바른샘도서관
정조테마공연장
시설물 대관 안내
열린공간
재단소식
프레스룸
자료실
통합 온라인접수
열린의견
공공데이터개방
경영공시
인인화락웹진
재단소개
인사말
비전 및 경영전략
ESG경영
청렴·윤리경영
인권경영
연혁 및 설립배경
조직 및 담당업무
CI소개
재단 오시는 길
문화기부ssac
싹ssac 후원하기
싹ssac 새소식
싹ssac 후원회원
싹ssac 소개
기타
문화관광해설사
수원화성관광
수원화성관광
축제·행사·교육
문화사업
문화시설
열린공간
재단소개
문화기부ssac
기타
수원화성 소개
관람안내
화성행궁 야간개장
수원화성 소개
화성행궁 소개
화령전 소개
수원화성 공연 · 체험
수원호스텔
문화관광해설
행궁동 왕의 골목여행
근대여행 골목길 해설
수원화성 태평성대
시설물 소개
소개
시설물 소개
읽을거리
소개
시설물 소개
읽을거리
현재 위치
수원화성관광
수원화성 소개
시설물 소개
시설물 소개
소개
시설물 소개
읽을거리
본문영역
시설물 소개
게시판 검색
검색 조건 선택
제목
내용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검색
동북각루, 방화수류정(東北角樓, 訪花隨柳亭)
보물 제1709호 1794년(정조 18) 창건 1934년 해체・수리 동북각루는 화성 동북쪽 요충지에 세운 감시용 시설이다. 용두龍頭 바위 위에 각루를 우뚝 세워 주변을 감시하고 화포를 쏠 수 있도록 했다. 군사 시설이지만 아름다운 연못과 함께 있어 경치를 즐기는 정자로 많이 쓰였다. 정자의 별칭은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이다. 정조는 이를 ‘현륭원이 있는 화산花山과 수원 읍치를 옮긴 땅 유천柳川을 가리키는 뜻’이라고 풀이했다. 방화수류정에는 온돌방 한 칸이 있었다. 보통 군사들의 휴식을 위해 각루 1층에 온돌방을 만들었는데 방화수류정은 임금을 위해 2층에 온돌방을 만들고 창문을 설치했다. 조선 정조 21년(1797) ...
용연(龍淵)
1796년(정조 20) 조성 1976년 주변 정비 2011년 주변 정비 용연은 화성의 북쪽 성밖에 있는 연못이다. 금강산 구룡연을 비롯해서 전국의 이름난 명소에 용연이라는 명칭이 두루 쓰였고 갖가지 전설이 있다. 화성의 용연은 용머리처럼 생긴 용두 바위에서 유래했다. 용두 바위 위에 있는 방화수류정은 ‘용두각’이라고도 부른다. 화성성역의궤에는 용연이 반달처럼 생겼고, 용두 바위는 물고기를 잡는 조대釣臺로 쓸 만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용연의 물이 넘치면 서쪽의 출수구를 통해 수원천으로 흘러 나간다. 출수구에는 용이 되기 전 단계의 짐승인 이무기 상을 새겼는데 원형이 잘 남아 있다. 용연에 비친 달이 떠오르는...
서북각루(西北角樓)
1796년(정조 20) 창건 1975년 복원 서북각루는 화성 서북쪽 요충지에 세운 감시용 시설이다. 화성에는 모두 4곳의 각루가 있다. 서북각루는 팔달산으로 오르는 경사지에서 성벽이 휘어진 곳에 자리 잡아 서북쪽 일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아래층에는 군사들이 머무는 방에 온돌을 놓았고 위층은 마룻바닥으로 만들었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사면에 널빤지 문을 달고 구멍을 내서 적을 감시했다. Northwestern Corner Pavilion A corner pavilion, called gangnu in Korean, was built on the high ground of the fortress to watch the surrounding area and to be used for leisure. The name comes from the fact...
동남각루(東南角樓)
1796년(정조 20) 창건 1979년 재건 2016년 해체 · 수리 동남각루는 화성 남쪽 요충지에 세운 감시용 시설이다. 화성에는 모두 4곳의 각루가 있다. 동남각루는 남수문에서 동쪽으로 솟아오른 경사지에서 성벽이 휘어진 곳에 있다. 이곳은 풍수에서 안산案山에 해당하는데, 봉우리가 일一자 모양처럼 평평하여 일자문성一字文星이라고 불렀다. 서북각루와 같은 구조로 아래층 군사들이 머무는 방에는 온돌을 놓았고, 위층은 마룻바닥으로 만들었다. 사면에 짐승 얼굴과 태극무늬를 그린 널빤지 문을 달고 활 쏘는 구멍을 냈다. Southeastern Corner Pavilion A corner pavilion, called gangnu in Korean, ...
서남각루, 화양루 (西南角樓, 華陽樓)
1796년(정조 20) 창건 1975년 복원 서남각루는 화성 서남쪽 요충지에 세운 감시용 시설로 ‘화양루’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화성에는 모두 4곳의 각루가 있다. 화성 축성 초기에는 서남각루를 만들 계획이 없었던 듯하다. 그러나 이곳은 남쪽 일대가 한눈에 들어오는 위치로 만약 적에게 빼앗기면 공격당할 수도 있기 때문에 계획을 변경하여 서남암문 바깥으로 길게 용도를 내고 그 끝에 각루를 세웠다. 건물 전면은 장수가 군사를 지휘할 수 있도록 벽돌을 깔았고, 후면은 바닥을 높이고 창문을 달아서 실내에서도 주변을 살필 수 있도록 했다. 조선 정조 21년(1797) 정월, 화성을 찾은 정조는 화양루에서 시작하여 성곽 일...
북동포루(北東砲樓)
1794년(정조 18) 창건 1977년 복원 북동포루는 장안문의 동쪽에 설치한 화포를 갖춘 시설이다. 화성에는 동포루, 서포루, 남포루, 북동포루, 북서포루 모두 5곳의 포루가 있는데 주변 지형 조건에 따라 크기를 달리했다. 포루는 벽돌로 만든 3층 구조로, 아래 두 층은 화포나 총을 쏠 수 있도록 만들었고 상층은 군사들이 적을 감시하고 공격할 수 있도록 누각을 만들었다. 정약용은 중국의 제도를 두루 살펴 발전된 형태의 포루를 설계했는데, 그 모습이 화성성역의궤와 정리의궤에 그림으로 표현되어 있다. Northeastern Artillery Pavilion An artillery pavilion, called poru in Korean, is an outwardly p...
북서포루(北西砲樓)
1794년(정조 18) 창건 1975년 복원 북서포루는 장안문 서쪽에 설치한 화포를 갖춘 시설이다. 화성에는 동포루, 서포루, 남포루, 북동포루, 북서포루 5곳의 포루가 있는데 주변 지형 조건에 따라 크기를 달리했다. 평탄한 곳에 지은 북서포루가 가장 높다. 포루는 벽돌로 만든 3층 구조로 아래 두 층은 화포나 총을 쏠 수 있도록 만들었고, 상층은 군사들이 적을 감시하고 공격할 수 있도록 누각을 만들었다. 북서포루와 북동포루는 안팎의 지붕 형태가 다르다. 이는 화성성역의궤에 수록되어 있는 각 시설물 자재 목록을 바탕으로 복원된 것이다. Northwestern Artillery Pavilion An artillery pavilion, calle...
서포루(西砲樓)
1796년(정조 20) 창건 1975년 복원 서포루는 팔달산 중턱에 설치한 화포를 갖춘 시설이다. 화성에는 동포루, 서포루, 남포루, 북동포루, 북서포루 5곳의 포루가 있는데 주변 지형 조건에 따라 크기를 달리했다. 서포루는 경사지에 지었기 때문에 평지에 설치한 북서포루와 북동포루보다 규모를 작게 만들고, 화포와 총을 쏘는 구멍의 숫자도 줄였다. 포루는 3층 구조로 아래 두 층에는 화포나 총을 쏠 수 있는 구멍이 있고, 상층에는 누각이 있다. 상부의 누각은 복원했으나 벽돌로 만든 하부는 창건 당시의 모습이다. Western Artillery Pavilion An artillery pavilion, called poru in Korean, is an outward...
남포루(南砲樓)
1796년(정조 20) 창건 1975년 누각 복원 남포루는 팔달산의 남쪽 기슭 경사지에 지은 화포를 갖춘 시설이다. 화성에는 동포루, 서포루, 남포루, 북동포루, 북서포루 5곳의 포루가 있는데 주변 지형 조건에 따라 크기를 달리했다. 그 중 남포루는 규모가 가장 작다. 화성성역의궤에는 포루 내부 높이가 균일하게 설계되어 있지만, 지형에 따라 각 층의 높이가 다르다. 남포루 1층은 1.7m 2층은 1.25m로 만든 반면 누각이 있는 3층은 높이 3m 이상을 확보하였다. 남포루는 포루 중 원형이 가장 잘 남아 있다. Southern Artillery Pavilion An artillery pavilion, called poru in Korean, is an outwardly project...
동포루(東砲樓)
1796년(정조 20) 창건 1979년 복원 동포루는 동1치와 동2치 사이에 지은 화포를 갖춘 시설이다. 화성에는 동포루, 서포루, 남포루, 북동포루, 북서포루 5곳의 포루가 있는데 보통 평지에서는 규모를 키우고 경사지에서는 규모를 줄였다. 화성성역의궤에는 균일하게 설계되어 있지만 지형과 주변 여건에 따라 규모와 각 층의 높이를 달리 만든 것이다. 동포루는 산상 동성구간에서 비교적 평평한 곳에 있지만 주변 성벽이 높지 않아 작게 만들었다. 남포루와 마찬가지로 1층과 2층은 낮고 누각이 있는 3층은 높이 3m 이상을 확보했다. Eastern Artillery Pavilion An artillery pavilion, called poru in Korean,...
1
2
3
4
5
담당부서
: 수원문화재단
전화번호
: 031-290-3600
수원화성관광
축제·행사
·교육
문화사업
문화시설
열린공간
재단소개
관람안내
재단
오시는길
메뉴위치
이동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