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도 화서사랑채 주말 국악체험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화서문 앞 아담하고 아름다운 한옥 화서사랑채에서 전통악기 체험형 일일수업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기존에 접하기 어려웠던 전통악기(가야금, 해금, 북, 장구 등)를 직접 만지며 기본적인 연주법을 배워보고 민요, 판소리, 전통놀이 등을 통해 전통문화예술을 즐겨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1. 교육개요
- 교육강좌 : 9강좌(개인체험 5강좌, 가족체험 4강좌)
- 개인체험 : 어린이 국악, 민요와 장단, 북과 판소리, 가야금, 해금
- 가족체험 : 민요와 장단, 북과 판소리, 가야금, 해금
- 수강일정 : 9. 27.(금) ~ 12. 1.(일) [총 20회] / 각 90분
* 화서사랑채 정규교육 발표회(11/9)가 포함된 주말에는 체험 없음
- 모집대상
- 개인체험 : 초등학교 4학년 이상 ~ 성인 (주대상: 일반성인 및 청소년)
※ ‘어린이국악’ 수업은 초등학생만 신청 가능
- 가족체험 : 미성년 1인, 성인 1인 이상 포함된 2인 이상의 팀 (주대상: 어린이가족)
- 모집정원 : 6~10명 (수업별 상이)
- 수업장소 : 화서사랑채 교육동 (수원시 팔달구 화서문로 19)
- 수업방법 : 대면교육
2. 신청안내
- 신청기간 : 9.6.(금) 9:00 ~ 체험 시작 전
- 신청방법 : 온라인 및 현장신청
- 수원문화재단 홈페이지 > 열린공간 > 통합 온라인접수 > 수원전통문화관 접수
- 방문 및 전화접수(031-247-9806~7) / 화 ~ 일요일 09:00~18:00
- 방문 및 전화접수(031-247-9806~7) / 화 ~ 일요일 09:00~18:00
* 매주 월요일 휴관, 점심시간(12-13시) 제외
* 접수 첫날 오전에는 방문접수자로 인해 전화통화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음
- 결제방법 : 현장 카드결제 (수강료 결제완료 시 최종 접수완료)
- 수강료 : 1인 기준
- 신청유의사항
- 신청일로부터 3일내로 현장결제를 완료해주세요. 부득이한 사정으로 시일 내로 수강료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 개별연락 부탁드립니다.
- 신청하신 체험 2일전까지 접수완료 인원이 수강 최소인원 이상이 되지 않을시 프로그램이 폐강될 수 있습니다. (취소시 개별 연락)
- 교재, 교구 준비 안내
- 악기 · 재료비 등 : 화서사랑채 제공 (수강료에 포함)
- 가야금 가족 수업의 경우 팀당 가야금 최대 2대까지만 제공 가능
3. 유의사항
- 참관을 위한 보호자 입장은 불가합니다. 함께 프로그램을 신청하여 즐겨주세요.
- 수강 신청날로부터 3일 이내 수강료를 결제하지 않을 경우 신청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부득이하게 결제가 늦어질 경우 반드시 별도 연락 부탁드립니다.
- 주차는 주변 공영주차장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주말에 주변지역이 매우 혼잡하고 주차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무단불참 및 폐강 방지를 위하여 사전신청과 수강료 결제를 받고 있습니다. 타인의 참여기회를 빼앗지 않도록 신중한 신청과 책임감 있는 참여 부탁드립니다.
- 무단불참하거나 신청 후 취소를 반복하는 수강자의 경우 다음번 화서사랑채 교육신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4. 강좌시간표
시 간 |
금 (9/27) |
토 (9/28) |
일 (9/29) |
13:00 ~ 14:30 |
|
|
|
15:00 ~ 16:30 |
|
[가족] 북과 판소리 |
|
19:00 ~ 20:30 |
[개인] 가야금 |
|
|
시 간 |
금 (10/4) |
토 (10/5) |
일 (10/6) |
13:00 ~ 14:30 |
|
[개인] 민요와 장단 |
|
15:00 ~ 16:30 |
|
[가족] 민요와 장단 |
|
19:00 ~ 20:30 |
|
|
|
시 간 |
금 (10/11) |
토 (10/12) |
일 (10/13) |
13:00 ~ 14:30 |
|
[개인] 북과 판소리 |
|
15:00 ~ 16:30 |
|
[가족] 북과 판소리 |
|
19:00 ~ 20:30 |
|
|
|
시 간 |
금 (10/18) |
토 (10/19) |
일 (10/20) |
13:00 ~ 14:30 |
|
|
|
15:00 ~ 16:30 |
|
[가족] 민요와 장단 |
|
19:00 ~ 20:30 |
|
|
|
시 간 |
금 (11/1) |
토 (11/2) |
일 (11/3) |
13:00 ~ 14:30 |
|
[개인] 가야금 |
[개인] 해금 |
15:00 ~ 16:30 |
|
[가족] 가야금 |
|
19:00 ~ 20:30 |
[개인] 해금 |
|
|
시 간 |
금 (11/15) |
토 (11/16) |
일 (11/17) |
13:00 ~ 14:30 |
|
[개인] 해금 |
[개인] 어린이 국악 |
15:00 ~ 16:30 |
|
[가족] 해금 |
[개인] 어린이 국악 |
19:00 ~ 20:30 |
[개인] 가야금 |
|
|
시 간 |
금 (11/22) |
토 (11/23) |
일 (11/24) |
13:00 ~ 14:30 |
|
|
|
15:00 ~ 16:30 |
|
[개인] 가야금 |
[가족] 가야금 |
19:00 ~ 20:30 |
|
|
|
시 간 |
금 (11/29) |
토 (11/30) |
일 (12/1) |
13:00 ~ 14:30 |
|
|
|
15:00 ~ 16:30 |
|
[가족] 북과 판소리 |
[개인] 어린이 국악 |
19:00 ~ 20:30 |
|
|
|
5. 강좌세부내용
[개인체험]
번호 |
과목명 |
일 시 |
정원 |
내 용 |
1 |
가야금 |
9. 27.(금)
19:00~20:30 |
6명 |
가야금의 구성 및 기초 연주법을 배우고 “밤양갱”, “아리랑” 연주하기 |
2 |
민요와 장단 |
10. 5.(토)
13:00~14:30 |
10명 |
민요의 전통창법과 장구장단을 배우고 “아리랑”, “군밤타령” 소리 내보기 |
3 |
북과 판소리 |
10. 12.(토)
13:00~14:30 |
10명 |
판소리 구성요소와 고수 이해하기
: 춘향가 중 “사랑가”를 배우고 소리북 “중모리” 장단 연주하기 |
4 |
해금 |
11. 1.(금)
19:00~20:30 |
10명 |
해금의 구성이해 및 소리내기를 배우고
“나비야”, “아리랑” 연주하기 |
5 |
가야금 |
11. 2.(토)
13:00~14:30 |
6명 |
가야금의 구성 및 기초 연주법을 배우고 “밤양갱”, “아리랑” 연주하기 |
6 |
해금 |
11. 3(일)
13:00~14:30 |
10명 |
해금의 구성이해 및 소리내기
“나비야”, “아리랑” 연주하기 |
7 |
가야금 |
11. 15.(금)
19:00~20:30 |
6명 |
가야금의 구성 및 기초 연주법을 배우고 “밤양갱”, “아리랑” 연주하기 |
8 |
해금 |
11. 16.(토)
13:00~14:30 |
10명 |
해금의 구성이해 및 소리내기
“나비야”, “아리랑” 연주하기 |
9 |
어린이국악
(타악기) |
11.17.(일)
13:00~14:30 |
10명 |
국악 타악기 – 장구와 소고 배워보기,
미니장구 혹은 소고만들기(택1) |
10 |
어린이국악
(탈춤) |
11. 17.(일)
15:00~16:30 |
10명 |
탈춤 – 탈춤장단 배우기, 탈을 만들고
직접 탈춤 춰보기 |
11 |
가야금 |
11. 23.(토)
15:00~16:30 |
6명 |
가야금의 구성 및 기초 연주법을 배우고 “밤양갱”, “아리랑” 연주하기 |
12 |
어린이국악
(부채춤) |
12. 1.(일)
15:00~16:30 |
10명 |
부채춤 – 나만의 부채를 만들고
부채춤 동작 배워보기 |
[가족체험]
번호 |
과목명 |
일 시 |
정 원 |
내 용 |
1 |
북과 판소리 |
9. 28.(토)
15:00~16:30 |
10명
(4-5팀) |
판소리의 구성요소와 고수 이해하기
: 흥보가 중 “돈과 쌀을 털어 내는 대목”의 소리북을 연주하고 ‘추임새’ 따라해보기 |
2 |
민요와 장단 |
10. 5.(토)
15:00~16:30 |
10명
(4-5팀) |
민요의 전통창법과 장구장단을 배우고
“아리랑”, “군밤타령” 소리 내보기 |
3 |
북과 판소리 |
10. 12.(토)
15:00~16:30 |
10명
(4-5팀) |
판소리의 구성요소와 고수 이해하기
: 흥보가 중 “돈과 쌀을 털어 내는 대목”의 소리북을 연주하고 ‘추임새’ 따라해보기 |
4 |
민요와 장단 |
10. 19.(토)
15:00~16:30 |
10명
(4-5팀) |
민요의 전통창법과 장구장단을 배우고
“아리랑”, “군밤타령” 소리 내보기 |
5 |
가야금 |
11. 2.(토)
15:00~16:30 |
6명
(2-3팀) |
가야금의 구성 및 기초연주법을 배우고 “작은별”, “아리랑”(2중주) 함께 연주하기 |
6 |
해금 |
11. 16.(토)
15:00~16:30 |
10명
(4-5팀) |
해금의 구성이해 및 소리내기
“나비야”, “아리랑” 연주하기 |
7 |
가야금 |
11. 24.(일)
15:00~16:30 |
6명
(2-3팀) |
가야금의 구성 및 기초연주법을 배우고 “작은별”, “아리랑”(2중주) 함께 연주하기 |
8 |
북과 판소리 |
11. 30.(토)
15:00~16:30 |
10명
(4-5팀) |
판소리의 구성요소와 고수 이해하기
: 흥보가 중 “돈과 쌀을 털어 내는 대목”의 소리북을 연주하고 ‘추임새’ 따라해보기 |
※ 상황에 따라 운영일시 및 수업내용 등은 변경될 수 있음
6. 취소·환불규정
- 수강료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전부 또는 일부를 반환할 수 있음
- 전액환불 : 수원문화재단 사정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없게 된 경우 혹은 천재지변 등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 전액환불 : 프로그램 시작 2일전 14시까지 화서사랑채에 취소의사를 밝히고 수강을 포기한 경우
- 환불불가 : 각 프로그램 시작 2일전 14시 이후 취소를 요청하는 경우